1. 아론 벡은 누구일까요?
아론 벡은 영화 컨저링의 실화로도 알려진 로드아일랜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초기 학교생활은 삶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중단되었으나 이 문제를 극복한 후에 다른 또래집단보다 1년 먼저 진급하였습니다.
또한 그는 피나는 상처에 대한 공포, 질식에 대한 두려움 등 본인이 직접 겪었던 경험들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만들어 냈습니다. 그는 펜실 베이니아 대학 명예교수이자 벡 연구회의 창시자이기도 합니다.
2. 아론 벡이 제시한 인지행동상담의 주요 개념에 관하여 알아보시죠.
인지행동상담 이론에서 활용되는 첫 번째 개념으로 역기능적 인지도식이 있습니다.
과거에 어떤 할머니가 용변이 급해 고추 밭에 들어가 용변을 보시다가, 밭의 주인에게 도둑으로 오인받아 총격을 당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김모씨가 과거에 당했던 고추 절도 피해는 ‘이전 경험’에 해당됩니다.
김모씨에게는 “ 내 고추밭에 들어가는 사람은 모두 도둑일 것이다 ” 라는 역기능적 인지도식이 형성 되었습니다.
이후 고추받에 침입한 여성을 목격하는 주요사건이 일어났고, 김모씨의 역기능적 인지도식이 활성화되어 소변보러 온 여자를 도둑으로 오인해 죽이는 결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개념, 자동적 사고입니다.
자동적 사고란 환경적 사건에 대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떠오르는 생각과 심상을 의미하는 것이 바로 자동적 사고입니다. 이러한 자동적 사고는 특정한 감정 및 행동반응을 불러 일으킨다고 합니다. 자동적 사고는 환경적 사건으로부터 심리적 증상이 생기도록 매개하는 주요한 인지적 요인이 됩니다.
세 번째 개념, 인지적 오류입니다.
정확한 정의는 "어떤 사건이나 상황을 왜곡해서 그 의미를 해석하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일으키는 체계적인 잘못"을 의미합니다. 즉 외부의 사건 및 상황을 나 자신이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오류가 났음을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이 오류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첫 번째 ‘ 전부 아니면 전무의 사고 ’ 입니다.
이것은 흑백논리를 의미합니다. 완벽하지 않으면 모든 것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거나, 순수하지 않은 것은 곧 더러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두 번째, 과잉 일반화입니다.
각종 인터넷 용어들에는 전후 맥락없이 상대를 일반화 하여 평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앞뒤전후 상황 구분없이 단정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이 과잉 일반화의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긍정적인 면의 평가절하, 과장/축소, 넘겨짚기 등의 오류가 있습니다.
인지행동상담의 상담 목표 및 진행 과정
상담 목표는 앞서 말했던 자동적 사고를 찾아내어 인식하게 하고, 좀더 합리적인 사고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내담자의 자동적 사고에 주의를 기울이고 인식 |
내담자가 자동적 사고가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식 |
상담자는 자동적인 사고를 합리적인 사고로 변화시키도록 격려 |
내담자가 주로 보이는 인지적 오류들을 확인 가능 |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역기능적인 가정들이 무엇인지 인식 가능 |
역기능적인 가정들을 재구성함으로써 부적응적인 도식을 변화시키는 단계 |
그 변화를 위해서 상담가는 인지적 기법과 행동적 기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합니다.
첫 번째는 인지적 기술입니다.
내담자의 자동적 사고를 유도한 뒤 그 사고 속에 숨어있는 논리를 분석하여 역기능적인 가정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상담가는 좀전 확인했던 가정이 과연 타탕성이 있는지를 내담자와 함께 검토하게 됩니다. 만약 검토한 가정이 타당성이 없고 생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가정 이라면 그것을 기능적으로 바꿔주는 것이 상담가의 역할입니다.
두 번째는 행동적 기술입니다.
행동적 기술이란,특정한 부적응적 신념에 도전하거나 새로운 학습을 증진시키도록 고안된 행동적 실험들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행동적 기술에는 내담자의 반응 범주를 확장시키는 기술훈련과 점진적 이완, 활동 계획하기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회피적 상황을 고의적으로 준비하여 맏닥 들이게만드는 행동적 시연, 이미 잘들 알고계신 노출치료 등의 기법이 있습니다
※ 본 글은 2014년 당시 작성한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표시 클릭을 부탁드립니다.
'NCS > 07. 사회복지·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기법 OX 퀴즈 문제를 풀어봅시다! (3) | 2021.01.13 |
---|---|
Kohlberg 콜버그 도덕성 발달단계 한줄요약 (0) | 2021.01.13 |
발달심리학 총정리 2편 - 피아제 인지 발달 이론, 발달심리학 역사 등 (0) | 2021.01.02 |
발달심리학 총정리 1편 - 발달의 종류부터 프로이드 VS 아들러 비교까지 (0) | 2021.01.02 |
긴급복지지원사업 생계비/의료비 지원 정리 (0) | 2020.12.23 |
대구시 긴급 생계자금 지급 안내문 (0) | 2020.04.04 |
준오헤어 대표 강윤선의 목표설정방법 (0) | 2020.04.01 |
긴급재난지원금 도입 방안 (0)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