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을 이겨내는 힘 회복탄력성제목. 회복탄력성. 개요. WHY: 정신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서. WHO: 여러분이. WHAT: 회복탄력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합니다. WHEN: 지금부터. WHERE: Youtube 또는 블로그에서. HOW: 다음 자료를 참조하여 . HOW MUCH: 약 30분간. 회복탄력성이 필요한 이유. 회복 탄력성은 정신병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스트레스 사건과 요인들의 보호요인임이 입증 . (Johnson, Gooding, Wood, & Tarrier, 2010; 안소정 , 박은희 , 홍현주 , 송정은, 육기환 , 김소은 , 2013). 회복탄력성이란?.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능력. 사람들이 역경을 극복해 가는 적응기제. 매우 추상적이고 복합적인 개념. 세가지 관점에 따라 구분. 정신분석학적 관점. 자아탄력성(ego-resiliency)이라고 부름.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나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 융통성 있게 반응하는 경향성. 발달정신병리학적 관점. 탄력성(resilience)이라고 부름. 위험 & 역경 &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긍정적 결과 & 유능성을 이루는 것. 발달적 맥락주의 관점. 자아탄력성(ego-resiliency)과 탄력성(resilience) 모두 혼용되어 사용. 주어진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과정. 회복탄력성 척도. KRQ-53 (Korean resilience quotient). 엑셀파일 이미지 첨부. 자기조절능력 = 감정조절력 + 충동통제력 + 원인분석력. 대인관계능력 = 소통능력 + 공감능력 + 자아확장력. 긍정성 = 자아낙관성 + 생활만족도 + 감사하기. 회복탄력성을 키우려면?. 이미지삽입. 저자. 김주환 교수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서울대 정치학 학사 및 석사 (1991). 이태리 정부장학생 (볼로냐 대학) (1992). 미 펜실베니아대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및 박사 (1997). 강의내용. 나를 존중하라. 자신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곳과 타인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곳이 동일함. 내 존재가 얼마나 귀한지 알어야 자기존중이 생긴다. 자기존중을 잘하면 타인존중 잘할 수 있다. 우울증 특징? 자신이 가치가 없다는 생각을 강화. SO 자기존중을 길러야 한다. BUT 문제 교육시스템. 의무교육제도. 평균적 민주시민 길러내기. 못하는 것을 보완하는데 초점. 못하는 것을 잘하라는 의무를 강요. 못하는 것을 잘해봤자 평균. 나의 강점에 집중하라. 강점과 장점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잘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 약점을 보완하는 것은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하버드 교수 각 분야 업적 뛰어난 사람 공통점 발견. 어려서부터 자기 장점에 집중한 사람. 장점 집중 > 자기존중감 > 타인존중감 > 회복탄력성 향상. 타인을 존중하고, 타인의 강점에 집중하라. 우리는 다른사람의 장점을 알려고 하지 않는다. 타인 존중력을 키울 필요성. 인간 1명과 연결된 수백명의 인적네트워크가 있다. 그러므로, 인간 1명은 전 인류로 통하는 관문이다. 존중을 받고 싶다면 먼저 존중을 주어야 한다. (도덕적인 가치로 얘기하는 것이 아님). 상대방의 장점과 강점을 보라. 실습하라. 타인과 짝지어 활동. 나의 큰 장점은 무엇일까?. 당신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타인의 장점을 받아적기. 당신의 강점인 [ ]를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일어나서 타인의 장점을 발표. 실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긍정적 정서(Postive Emotion)의 강화. 긍정적 정서 유발 기제. 나를 긍정적으로 보고 나의 장점볼때. 감사함을 느낄때. 긍정적 정서 유발 결과. 회복탄력성 소통능력 강화. 참고문헌. 탄력성에 대한 이론적 관점의 비교, 신경대학교 이연실, KCI등재.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역경을 이겨내는 힘 회복탄력성
'NCS > 07. 사회복지·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재진술과 바꾸어 말하기의 의미 (0) | 2020.02.22 |
---|---|
인지심리학의 정의, 인지란 무엇인가? (0) | 2020.02.22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정책 총정리 (0) | 2020.02.21 |
경청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실천하는가? (0) | 2020.02.19 |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 (0) | 2019.12.24 |
지각 결석을 줄이는 기술 (0) | 2019.04.19 |
실수했을 때 기분 상하지 않는 법 (0) | 2019.04.18 |
2016-2020 제3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0) | 2019.02.04 |